(리포트) “목재인 줄 알았는데 철판이다”…인테리어 디자인으로 주목받는 ‘강철 건축자재’

(제보) “목재인 줄 알았는데 철판이다”…인테리어 디자인으로 주목받는 ‘강철 건축자재’ 2024.11.11 진입. 오전 6시 수정 2024.11.11. 오전 6시 1분

동국CM의 컬러강판 전문 건축거점 ‘도성센터’는 부산산 강판 건축자재를 사용해 가공된 나뭇결을 활용한 볼륨감을 연출했다. “프리미엄 브랜드로 최고의 제품을 공급합니다.” “10년, 20년이 지나도 현재의 컬러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고요. “내가 이 색을 골랐어요.” 지난 7일 충남 당진시 동국CM도성센터를 방문했다. 회사 럭스틸 솔루션팀 박영준 팀장은 “건물 전체가 ‘럭스틸’ 건축자재로 만들어졌다”고 건물 전체를 덮고 있는 밝은 노란색 외벽을 가리키며 말했다. “유기염료 중 가장 빨리 변색되는 노란색을 사용하여 오랜 시간이 지나도 원래의 상태를 유지합니다.” “색상이 유지될 수 있다는 걸 보여주려고 노력했다”고 그는 말했다.

충청남도 당진시에 위치한 동국CM시티센터 외관. 동국CM 도심은 동국제CM이 생산하는 프리미엄 컬러강판인 Luxteel을 건축자재로 만드는 컬러강판 전문가공 및 건설기지입니다. 원하는 색상으로 코팅된 철판이 부산에서 도성센터에 도착하면 이를 구부리거나 두껍게 만들어 건축자재로 만듭니다. Luxteel은 목재처럼 가공이 쉽고 내구성이 뛰어나 자연을 훼손하지 않고 천연소재의 색상과 질감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습니다. . 도성센터 내부는 나무의 질감을 완벽하게 재현해 ‘목공소’라는 느낌을 준다.

목공소를 연상시키는 도성센터 내부의 모습. 동국CM 제공 동국CM은 이미 10년 전 건축자재 사업에 진출했다. Lux Steel에 대한 깊은 이해가 없으면 성형과 시공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금속가공산업에 직접 진출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여기서는 럭스강을 착색하는 등의 후가공 없이 럭스강을 건축자재로 성형하는 작업만 이루어진다. 그러나 그것을 형성하는 데에도 매우 세심한 작업이 필요합니다. 건축 내장재인 라인패널의 경우 강판을 앞뒤로 일정한 간격으로 구부려야 하는데, 약간의 오차라도 있어도 제품 간 간격이 완전히 맞지 않아 문제가 발생한다.

중앙의 내벽으로 구성된 Luxteel 디지털 인쇄강판(목형문양)입니다. 나무가 아닌 철판입니다. 동국CM 정재박 팀장은 “내장재 연결 시 보통 실리콘을 사용하는데, 디자이너 입장에서는 변색의 우려가 있는 실리콘이 미관을 방해한다”고 말했다. 이어 “연결본드 사용을 피하기 위해 각 제품은 ‘오픈’되도록 세심하게 구성됐다. 이어 “’관절’ 형태로 연결됐다”고 강조했다. 동국CM은 정교한 제품 구현을 위해 자동화 기계를 모두 스위스에서 수입해 왔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동국CM은 홍콩 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롯데리아, 이디야 등 국내 주요 프랜차이즈와 매장 인테리어 자재로 럭스틸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결론.

도성센터 내부에는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Luxteel 제품들이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이성민 기자 럭스틸건자재의 올해 매출액은 약 200억원으로 추산된다. 박 팀장은 “매출 2조원 규모의 대기업으로서는 이 정도 수익은 사실상 무익하다”면서도 “현재 철강 건자재 시장이 완전히 개방되지 않은 상황이라 럭스틸이 가격을 주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그는 설명했다. 사업 확장을 위해 도성센터 외에 태국, 인도, 멕시코 등 해외 코일센터 인근에 럭스틸 가공센터를 건립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팀장은 “단순히 브랜드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프리미엄 ‘브랜딩’을 하고 있다. 그는 “단기적으로 돈만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룩스틸이 건자재 시장에서 일류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동국CM 럭스틸 솔루션 박영준 팀장이 도성센터 내부를 소개하고 있다. 동국CM 제공